앞으로 어르신의 지도를 구하고자 합니다.
성벽 돌에 한자로 새긴 이 기록물은 지금까지 총 6개가 발견됐는데.오세창은 돌아가신 부친의 자취가 묻어있는 석각 탁본을 보고 감격했다.
[사진 국립중앙박물관] 여기서 전형필이 스승 오세창과 처음 만났던 장면에 바로 이 평양성 석편 탁본 이야기가 등장한다.여기서부터 동쪽 12리를 무슨 직위를 가진 아무개가 축조했다라는 식의 내용이 적힌 돌덩어리들이 남아있기 때문이다.그러니 오경석도 돌아다니는 돌덩이를 함부로 여기지 않고.
그의 아들 위창 오세창(1864~1953)이 부친의 뜻을 이었다.남한에는 딱 1개가 이화여대박물관에 있어.
그중 2개는 북한에 있고.
처음에 오세창은 이 어려운 과제를 짊어지겠다는 젊은이의 의지에 반신반의했다.전시실에는 더 훌륭한 작품이 많이 나와 있었다.
오세창은 부친이 평생 사비를 털어 모은 어마어마한 양의 중국과 조선의 서적과 유물을 보고 자라며.[사진 국립중앙박물관] 여기서 전형필이 스승 오세창과 처음 만났던 장면에 바로 이 평양성 석편 탁본 이야기가 등장한다.
그런데 이 성벽을 만들 때.아직 와세다대 법학부 학생이던 22세의 전형필이 노년의 오세창을 처음 찾아갔을 때의 일이었다.